본문 바로가기

Swift/RxSwift

(20)
[🔥Rx뿌셔] Intro 마블 다이어그램 Rx에서 자주 나오는 그림? 개념? 중 하나는 마블 다이어그램이다. 시퀀스에 대한 모든 마블 다이어그램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도대체 이게 뭔데!? 간단히 말해서, 시간의 흐름에 다라서 시퀀스에서 방출되는 요소들을 시각화한 것이다. 위와 같은 마블 다이어그램이 있다고 할 때, 각각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 먼저 위에 있는 화살표의 요소를 살펴보도록 하자. 먼저 위에 배치된 화살표의 경우, Observable의 타임라인을 의미한다. 화살표 방향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시간이 흘러간다. (오른쪽에 배치된 요소일수록 최근인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올려져 있는 동그라미, 별, 세모 등은 Observable에 의해 방출된 아이템이다. 해당 화살표 마지막에 있는 |(세로..
[🌱SeSAC] Creating and Subscribing to Observables Rx.playground 파일에서 Creating and Subscribing to Observables 을 실행해보자. Creating and Subscribing to Observables There are several ways to create and subscribe to Observable sequences. Operatings > Creators > Empty/Never #empty Creates an empty Observable sequence that only emits a Completed event. empty는 아무 것도 emit하지 않는 옵저버블을 생성하지만 정상적으로 종료시킨다. 즉, 빈 값으로 종료 시키는 것이다. ✅ 즉시 종료 되는 옵저버블을 만들고 싶거나, ✅ 빈 값을 반..
[🌱SeSAC] Rx.playground 실행하는 방법 우쉬 어케 돌리는지 몰라서 킹받다가 .. 나중에 혹시 까먹을까봐 쓴다 .. #Finder에서 .xcworkspace로 연다. 먼저, 깃헙에서 클론을 하든지/프로젝트 파일을 다운로드 받든지 해서 파인더로 연다. 파인더에서 위와 같이 Rx.xcworkspace를 선택해서 열어준다. #Schema 설정 위와 같이 설정을 해준다. #Rx.playground 실행 그리고 나서 플레이그라운드로 이동한 다음 원하는 코드를 실행하면 된다. 빌드가 아니고 테스트!! 41번 줄의 play 버튼을 누르면 아래 콘솔 창에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SeSAC] 마침내 피할 수 없는 아 .. 알엑스 한 줄 소감 : 알엑스 .. 잭 앤 휴와 함께라면 뿌실 수 있다. RxSwift란? ReactiveX를 도입한 Swift 전용 구현 라이브러리이다. (이게 뭔데? 사실 .. 개념 자체보다 어떻게 구현되는지, 어떻게 동작되는지가 더 중요하다. 일단 넘어가자.) RxSwift의 키워드 알엑스에서 주의해야 하는 키워드는 세가지이다. Observer 이벤트를 방출 -> 전달받는 패턴이다. 일종의 Notification처럼 동작한다. (알림을 보내고 .. 알림을 받는 식의 ..) Observable을 이용해서 이벤트를 보내면 Observer을 통해 이벤트를 전달 받는다. Iterator map, filter, reduce 등과 같은 메서드를 생각해보자. 이런 함수들의 주의할 점은 순서이다. filter를 하고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