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07) 썸네일형 리스트형 URL와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목차 - URI (not URL) -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URI (= Uniform Resource Identifier .. 해석해보세요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합된 방법) 드가자 ~ 하기 전에 URI? URL? URN? 차이 알아보자. URI (Resource Identifier) URL (Resource Locator) = 리소스의 위치 URN (Resource Name) = 리소스의 이름 URL과 URN의 차이 .. 궁금하면 500원이 아니고 [더보기] ⬇️ 더보기 URL과 URN의 차이를 알아보자. URL은 위치를 의미하고 URN은 이름이라는 것 .. (앞에 말했잖아. ㅇㅋㅇㅋ.)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URL은 어떻게 리소스를 얻을 것이고 어디에서 가져와야하는지 명시하는 URI이다. URN은.. 운영체제란 무엇인가? 운영체제 컴퓨터 하드웨어 바로 위에 설치 되어 사용자/다른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소프트웨어 계층 - 사용자 및 소프트웨어와 어떻게 인터랙션 하는가? - 하드웨어와 어떻게 인터랙션 하는가? 운영체제의 목표 운영체제 위치 관점에 따라서 크게 두 가지의 목표가 있다. 컴퓨터 시스템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 사용자 및 소프트웨어와 어떻게 인터랙션 하는가?) - 운영체제는 동시 사용자 및 프로그램들이 각각 독자적인 컴퓨터에서 수행되고 있는 것과 같은 환상을 제공 - 하드웨어를 직접 다루는 복잡한 부분을 운영체제가 대행 컴퓨터 시스템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 (-> 하드웨어와 어떻게 인터랙션 하는가?) - 프로세서, 기억장치, 입출력 장치 등의 효율적 관리 (메모리 공.. 백준 - 구구단 이거 문제는 쉬운데 .. 다시 한번 고차함수를 잘 써야겠다고 느낀 .. 그런 문제라서 정리함 (.. 우우 언제쯤 난 .. 어쩔. 하면 되잖아. ㅇㅋㅇㅋ. 문제 N을 입력받은 뒤, 구구단 N단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출력 형식에 맞춰서 출력하면 된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1보다 크거나 같고, 9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출력형식과 같게 N*1부터 N*9까지 출력한다. 소깡이 풀이 import Foundation let input = Int(readLine()!)! for i in 1...9 { print("\(input) * \(i) = \(input * i)") } 그리고 좀 더 생각을 해봤음 .. (1...9).forEach { print("\(input) * \($0) = .. Set을 잘 쓰자. 옛 말 틀린거 하나 없다. 머리가 멍청하면 몸이 고생한다는 말 .. 완전 TRUE 이 글이 과연 알고리즘 카테고리에 들어가야 하는지 .. Swift 카테고리에 들어가야 하는 지 한 3초 고민했지만 .. 그냥 알고리즘에 넣었음 .. ㅇㅉ 내 공간임 .. (아무도 뭐라고 안함 ㅇㅋㅇㅋ.) 그래서 왜 Set을 써야 하는지 썰 푼다. ㅇㅇ 백준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가. 2480번: 주사위 세개 문제를 풀게 되었음. 근데 문제가 쉬운 것임? ㅋ ㅋ (당연함. 아직 단계2 조건문임.) 신나서 또 풀었음. 문제는 대충 이랬음. 문제 링크임 문제 요약 입력) 3개의 숫자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각각 주어진다. ex, 6 4 8 출력) 첫째 줄에 게임의 상금을 출력한다. 조건) 3개의 숫자 중 같은 숫자가 있다면 그것에 .. Type Casting Up? Down? 타입캐스팅 업? 다운? 죽여? 살려? ㅈㅅ 타입캐스팅 ... 이름이 낯설 수도 있는데 사실 그렇지 않다. 우리가 알게 모르게 많이 사용하고 있는 개념이다. guard let cell = collectionView.dequeueReusableCell(withReuseIdentifier: HomeMainPublicGroupCollectionViewCell.cellIdentifier, for: indexPath) as? HomeMainPublicGroupCollectionViewCell else { return UICollectionViewCell() } 이런 코드들을 한번쯤 작성한 적이 있을 것이다. (없다면 돌아가.) 위 코드를 해석하면, collectionView에 register 된 cell 중에서 H.. Framework (Dynamic VS Static) Framework / Library / Module 프로젝트를 만들 때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손수 만들지 않는다. 나 그러면 개발자 안 할 것임 은 김소깡 ㅎㅇㅌ ! 그래서 보통 프레임워크 / 라이브러리 / 모듈을 사용하는데 이런 것들을 왜 사용할까? 분업, 협업에 용이 빠른 개발 및 효율적인 개발 가능 재사용성 코드 관련(비슷한) 코드를 그룹화(모듈화)하고 코드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캡슐화)하는 메커니즘을 제공 프레임워크는 Dynamic shared Library, Nib 파일, 이미지 파일, 다국어 문자열, 헤더 파일, 레퍼런스 문서와 같이 공유 리소스를 패키지로 캡슐화하는 계층 구조 파일 디렉토리를 말한다. 구조를 보게 되면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형태를 갖고 있다. ├── Resources -> .. 백준 - 입출력과 사칙연산 단계별로 문제 풀이를 하고 있는데, 첫번째 단계인 입출력과 사칙연산을 끝냈음 언제 어려운 거 풀지 .. 여기서 조금 기억해야겠다 싶은 것들만 추려서 간단하게 적어보려고 한당 ... 세상 간단한 것도 .. 나는 어려우니까 .. 쒸익 쒸익 😡 ㄴ 누가 뭐라고 함? ㄴ 아니 그냥 내가 혼자 찔림 입력값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입력값을 받아야 하는데 .. 그전에 프로그래머스로 풀어서 그런지 입력값을 어떻게 받는지 몰랐다 .. swift에서는 readline()을 통해 입력값을 받을 수 있는데, 이렇게 받은 값을 따로 처리하지 않으면 옵셔널 string 형태로 타입이 결정된다. 그래서 이 값들을 원하는 식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몇가지 절차가 필요하다. (처음에는 조금 어색할 수 있는데, 몇번 풀다보면 .. Access Control - Basic to Advanced 앞의 글에서 접근제어에 대한 .. 첫인사(say ㅎ2)를 나눴다면 이번 글에서는 보다 자세하게 접근제어에 대해 알아보자. 접근 제어자 소스파일 및 모듈의 코드 중 일부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접근 제어자를 통해서 코드의 상세 내용을 숨길 수 있고 코드의 불필요한 외부 노출을 명시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은닉화의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외부에서 보거나 접근하면 안되는 코드에 접근하게 된다면 의도하지 않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접근 제어자는 모듈과 소스 코드 기준으로 접근 수준을 판단하게 된다. 모듈 import를 통해서 프로젝트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코드 묶음 단위를 말한다. 프로젝트를 하나의 모듈로 볼 수 있으며 프레임워크 하나도 하나의 모듈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open..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6 다음